반응형

QA(Quality Assurance) 17

Samsung Device 무료 원격 대여 하기

업무 특성상 Android , iOS 단말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참고로 저는 QA 직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게 회사에서도 최대한 구매를 진행 하고 있긴하지만, 출시 되는 모든 단말기를 구매하긴 여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월구독과 같이 원격 대여 사이트도 많이 찾아 봤는데 대부분 해외 사이트로 연결 시 끊기는 현상으로 쉽게 구독 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래도 저는 최대한 무료 서비스를 찾는 방안으로 대처 하고 있는데요. Remote Test Lab | Samsung Developers The world runs on you. developer.samsung.com 어느 날 찾게 된 Samsung Developers 사이트 삼성전자에서 출시 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원격 대여가 가능 한데..

프로토타입(Prototype)

프로토타입(prototype)의 사전적 의미는 대량 생산에 앞서 미리 제작해보는 원형 또는 시제품으로, 제작물의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정식 절차에 따라 완전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전에 사용자의 요구를 받아 일단 모형을 만들고 이 모형을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는 도구로 활용한다. 프로토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아파트 모델하우스이다. 모델하우스를 통해 내부 구조, 인테리어, 마감재 종류를 살펴보고 이런저런 분양 정보를 얻는다. 아파트를 건축하는 데 약 2년 정도 걸린다고 할 때 모델하우스도 못 보고 계약했다가 입주할 때쯤 완성된 내부가 계약자가 생각한 것과 많이 다르다면 참 난감할 것이다. 대규모 소프트웨어도 마찬가지이다. 2년 정도 걸려 완성했는데 최종 제품이 사용자가 생각한 것과 많이 다..

선형 순차적 모델

선형 순차적(linear sequential) 모델은 폭포수 모델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아래 그림과 같이 폭포에서 물이 떨어지듯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 폭포수(waterfall) 모델이라고 하는데, 고전적 생명주기(classic life cycle)라고도 한다. 이후로는 일반적으로 더 많이 알려진 폭포수 모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 폭포수 모델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대명사로 여겨질 만큼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초기에 개발된 전통적인 모델이다. 공장 생산 라인의 작업 프로세스와 유사한데, 소프트웨어 개발의 표준적인 프로세스를 정하여 소프트웨어를 순차적으로 개발한다.

V 모델

V 모델은 폭포수 모델의 변형으로, 테스트 단계를 추가 확장하여 테스트 단계가 분석 및 설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폭포수 모델이 산출물 중심이라면 V 모델은 각 개발 단계를 검증하는 데 초점을 두므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 단위 테스트(unit test) • 목표 : 개별 모듈 검증 • 내용 : 단위 테스트는 모듈 테스트라고도 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함수, 서브루틴, 컴포넌트 등)이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는지 판별한다. 그래서 내부에 존재하는 논리적인 오류를 검출할 목적으로 상세 설계 설명서의 내용대로 정확히 구현되었는가를 집중적으로 확인한다. ■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 목표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확인 • 내용 : 통합 테스트에서는 단위 테스트를 마..

제2회 Seminars for STAers 영상 공유

2회 세미나 (주)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 품질관리 리더 '박선영'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은 어떻게 품질관리를 하고 있을까?' 라는 주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상품들과 각 상품들을 테스트하는 과정 - 품질 관리자의 기본 역할 - 프로세스 수립 및 개선 - 수행업무 대기업에서의 테스팅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그리고, 실무 수행에 있어서의 마음가짐 등 수행 자세에 대한 조언도 함께 해주셨습니다. https://youtu.be/tdcq1WSrZo8 [출처] "제2회 Seminars for STAers" 영상 공유 (SW TestER들의 모임. 소프트웨어 테스트/팅 QA,ISTQB,CSTS,검증) | 작성자 STA테스팅컨설팅

제 6 장 테스트 지원 도구 Tool Support for Testing

학습목표 6.1 테스트 도구 고려 사항 (Test tool considerations) 6.2 도구의 효과적인 사용 (Effective use of tools) 6.1 테스트 도구 고려 사항 Test Tool Considerations 테스트 도구는 하나 이상의 테스팅 활동을 지원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테스팅에 직접 사용하는 도구 (예: 테스트 실행 도구, 테스트 데이터 준비 도구) - 요구사항,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프로세스, 자동 테스트 스크립트, 테스트 결과, 테스트 데이터, 결함을 관리하고, 테스트 실행 보고와 모니터링을 지원하는 도구 - 분석(analysis)과 평가(evaluation)에 사용하는 도구 - 테스팅을 지원하는 모든 도구 (이런 의미에서 스프레드시..

제 5 장 테스트 관리 Test Management

학습목표 5.1 테스트 조직 (Test Organization) 5.2 테스트 계획과 추정 (Test Planning and Estimation) 5.3 테스트 모니터링과 제어 (Test Monitoring and Control) 5.4 형상 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 5.5 리스크와 테스팅 (Risks and Testing) 5.6 결함 관리 (Defect Management) 5.1 테스트 조직 Test Organization 5.1.1 독립적인 테스팅 (Independent Testing) 테스팅 작업은 특정 테스팅 역할을 부여 받은 사람이나 다른 역할을 하는 사람도 수행할 수 있다 (예: 고객). 저자와 테스터가 가지는 인지편향(1.5 절 참조)의 차이 때문에 일정 수준..

제 4 장 테스트 기법 Test Techniques

학습목표 4.1 테스트 기법의 종류 (Categories of Test Techniques) 4.2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Black-box Test Techniques) 4.3 화이트박스 테스트 기법 (White-box Test Techniques) 4.4 경험 기반 테스트 기법 (Experience-based Test Techniques) 4.1 테스트 기법의 종류 Categories of Test Techniques 이번 장은 테스트 기법을 설명한다. 테스트 기법의 목적은 테스트 컨디션,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데이터 식별을 지원하는 것이다. 테스트 기법의 선택은 다음과 같은 여러 요소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 컴포넌트나 시스템의 복잡도 - 규제 기준 - 고객 또는 계약 요구사항 - 리스크 수준과 ..

이슈 관리 시스템 활용(BTS&ITS)

이슈 유형 JIRA & Redmine 와 같은 Bug Tracking System 매우 다양한 유형의 이슈들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기본 이슈는 아래에 리스트되어 있지만 관리자가 새로운 이슈 유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슈 타입 설명 BUG (문제점) 제품 혹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방해하는 문제 New Feature (새 기능} 새로운 기능 추가 개발 될 기능 Task (업무) 실행해야 하는 업무 Improvement (개선사항) 새로운 기능이 아닌 기존의 것을 향상시키는 것 Custom issue (커스텀 이슈) 사용자 이슈 유형 Priority Levels (우선순위 레벨) 각 이슈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우선순위입니다. 기본 우선순위는 아래에 리스트 되어 있습니다. 우선 순위 설명 Bl..

제 3 장 정적 테스팅 Static Testing

학습목표 3.1 정적 테스팅 기초 (Static Testing Basics) 3.2 리뷰 프로세스 (Review Process) 3.1 정적 테스팅 기초 Static Testing Basics 테스트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이 필요한 동적 테스팅과는 달리 정적 테스팅은 작업 산출물을 수동으로 검사(예: 리뷰)하거나 코드나 다른 작업 산출물을 도구를 기반으로 평가(tool-driven evaluation 예: 정적 분석)하는 방법에 의존한다. 두 가지 유형의 정적 테스팅 모두 테스트 중인 코드 또는 작업 산출물을 실제로 실행하지 않고 평가한다. 정적 분석은 안전 최우선 컴퓨터 시스템(예: 항공, 의료, 원자력 소프트웨어)에서 중요하지만 다른 영역에서도 점차 그 중요성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보안..

제 2 장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 주기와 테스팅

학습목표 2.1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모델 (Software Development Lifecycle Models) 2.2 테스트 레벨 (Test Levels) 2.3 테스트 유형 (Test Types) 2.4 유지보수 테스팅 (Maintenance Testing) 2.1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 유형과 이런 활동이 서로 어떻게 논리적 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지 보여준다.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개발 수명주기 모델이 있으며, 각각 다른 테스팅 접근법을 요구한다. 2.1.1 소프트웨어 개발과 소프트웨어 테스팅 (Software Development and Software Testing) 필요한 테스트 활동을 수행할 ..

소프트웨어 테스팅 종류

Black Box Testing (블랙박스 테스팅) 블랙 박스 테스팅이란 시스템의 내부 설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테스팅으로서 고객의 요구사항 등이 담긴 프로그램 명세서를 기반으로 테스팅된다. White Box Testing (화이트박스 테스팅) 화이트 박스 테스팅이란 블랙 박스 테스팅과는 다르게 시스템의 내부 설계를 고려한 테스팅으로서 시스템의 코드 내부의 로직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이 테스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소프트웨어와 코드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고있어야하며, 커버리지(Coverage)를 통하여 테스팅된다. 커버리지의 종류로는 Path, Statement, Decision, Condition, DC/CD, MC/DC, Multiple Condition Coverage가 있다..

기능 테스트 & 비기능 테스트

기능 테스트(Functional) 비기능 테스트(Non-Functional) 클라이언트가 제공한 기능명세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소프트웨어의 기능 요구사항을 확인한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성능, 안정성, 확장성 등 비기능적 측면을 확인한다. 비기능 테스트 전에 수행된다. 기능 테스트 진행 후 수행되어야 한다. 수동 또는 자동화 도구를 이용한다. 도구를 이용하는것이 효과적이다. 제품의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품이 얼마나 잘 동작하는지는 확인하는 것이다. 유닛 테스트 스모크 테스트 세너티 테스트 통합 테스트 화이트 박스 테스트 블랙 박스 테스트 사용자 인수 테스트 리그레션 테스트 성능 테스트 부하 테스트 볼륨 테스트 스트레스 테스트 보안 테스트 설치 테스트 침투 테스트 호환성 테스트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제 1 장 테스팅의 기초 / Fundamentals of Testing

학습목표 1.1 테스팅이란 무엇인가? (What is Testing?) 1.2 테스팅이 왜 필요한가? (What is Testing Necessary?) 1.3 테스팅의 7 가지 원리 (Seven Testing Principles) 1.4 테스트 프로세스 (Test Precess) 1.5 테스팅의 심리학 (The Psychology of Testing) 1.1 테스팅이란 무엇인가? What is Testing?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인터넷 은행과 같은 비즈니스 응용 프로그램부터 자동차와 같은 소비자 제품까지 생활의 많은 부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 기대한 것과 다르게 동작하는 걸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금전, 시간, 비즈니스 평..

반응형